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구글 워크스페이스 보안센터를 활용한 내부 정책 통제 및 점검 플로우
    구글 워크스페이스 2025. 7. 6. 07:34
    목차

    보안은 설정보다 점검이 핵심이다
    Google 보안센터 핵심 기능과 설정 구조
    감사 로그와 조사 툴을 통한 점검 플로우 설계
    보안은 흐름이고, 흐름은 체계로 이어져야 한다

     

     

    보안은 설정보다 점검이 핵심이다

    : 보안은 설정이 아니라 지속적인 점검 체계다

    많은 조직이 Google Workspace를 도입하면서 문서, 메일, 캘린더, 드라이브 등 업무의 대부분이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동하고 있다.
    업무의 효율성은 올라갔지만, 그만큼 정보 유출, 비인가 접근, 설정 오류로 인한 사고 위험도 동시에 증가했다.
    실제로 외부 공유가 제한되지 않은 드라이브 문서나, 다중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관리자 계정, 승인 없이 설치된 서드파티 앱 등이 보안 위협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oogle에서는 Workspace 사용자 전용 보안센터(Security Center)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 정책 통제와 실시간 위협 점검 체계를 설계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Google Workspace의 보안센터와 관리자 도구를 활용하여 보안 정책을 일관되게 적용하고, 실시간으로 보안 상태를 점검하며,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플로우 설계 방법을 소개한다.

    구글 워크스페이스 보안센터 사용법

     

     

    Google 보안센터 핵심 기능과 설정 구조

    : Google Workspace 보안센터의 핵심 기능과 설정 전략

    보안센터는 Google Workspace의 중상위 요금제(Business Plus 이상) 또는 Enterprise 플랜에서 제공되는 기능이며, 조직 내 보안 상태를 시각화하고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 보안센터 접속 방법
    Admin Console > 보안(Security) > 보안 센터
    대시보드, 보안 건강 체크(Security Health), 조사 툴(Investigation Tool), 경고 센터로 구성

    b. 보안 건강 체크(Security Health) 기능
    핵심 보안 항목의 설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점검
    예시 점검 항목:
    관리자 계정 MFA 설정 여부
    Google Drive 외부 공유 허용 상태
    Gmail 스푸핑 방지(SPF, DKIM, DMARC) 적용 여부
    외부 앱 접근 정책 설정 여부
    각 항목은 ‘권장됨’, ‘주의 필요’, ‘비활성’ 등으로 시각화
    활용 전략: 매월 1회 이상 점검 리포트 PDF로 저장 후 보안 책임자 회람

    c. 경고 센터(Alert Center) 기능
    Google이 탐지한 보안 위협, 이상 행위, 정책 위반을 자동으로 수집
    예시 알림:
    외부로 공유된 민감한 문서
    의심스러운 로그인 시도
    외부 앱에서 과도한 권한 요청
    Gmail에서 악성 파일 첨부 수신
    활용 전략: 알림 발생 시 이메일 전송 → 보안담당 Slack 채널로 자동 알림 전파 가능

    d. 사용자별 보안 상태 모니터링
    Admin Console > 사용자 → 상세 보기
    로그인 기록, 사용 중인 기기, 최근 활동 내역 확인 가능
    계정 정지, 비밀번호 재설정, 앱 접근 차단 등 직접 제어 가능

    e. 설정 정책 일괄 적용
    OU(조직 단위)별로 설정을 분리해 부서마다 다른 보안 정책 적용 가능
    예: 마케팅팀은 외부 공유 허용, 개발팀은 내부 전용으로 제한

    이러한 보안센터 기능을 기반으로 하면 일회성 설정이 아닌 지속적이고 구조화된 보안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감사 로그와 조사 툴을 통한 점검 플로우 설계

    : 감사 로그, 조사 툴, 자동화 플로우로 점검 체계 강화하기

    기본 보안 설정 외에도 Google Workspace는 감사(Audit) 로그 및 조사 툴을 제공하여 구체적인 보안 점검과 사고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a. 감사 로그(Audit Log) 활용
    Admin Console > 보고서 > 감사 로그
    주요 로그 항목:
    로그인 성공/실패 기록
    Google Drive 파일 열람, 수정, 공유 내역
    Gmail 수신/발신 기록
    캘린더 일정 수정, 삭제 기록 등
    필터링 기능으로 특정 사용자, 날짜, 이벤트 유형별 조회 가능
    활용 예시: 퇴사자 계정의 최근 7일간 Google Drive 접근 내역 추적

    b. 조사 툴(Investigation Tool)의 고급 기능
    보안 사고 발생 시 특정 조건의 사용자, 파일, 활동을 추적
    검색 조건 예시:
    ‘마케팅’ 폴더 내 외부 공유된 모든 문서
    IP 주소 기준으로 특정 국가에서 로그인한 사용자
    다중 인증을 사용하지 않은 관리자 계정

    c. 점검 결과 기반 조치 자동화
    조사 툴 내에서 탐지된 항목을 선택 → 일괄 삭제, 공유 해제, 사용자 알림 등 조치 가능
    예: 외부에 공유된 민감한 문서 30건 → ‘공유 해제’ 일괄 실행

    d. 주기적 보안 보고 자동화
    스프레드시트 + App Script를 활용해 월별 보안 이벤트 리포트 생성
    예:
    외부 공유 문서 수
    MFA 미설정 계정 목록
    의심 로그인 발생 수
    결과를 PDF로 저장하거나 Gmail/Slack으로 자동 전송 가능

    e. API 연동을 통한 외부 보안 솔루션과 통합
    Google Workspace Admin SDK 또는 Reports API를 활용해
    외부 보안 관제 시스템(SIEM)과 데이터 연동 가능
    예: Splunk, Sumo Logic 등과 통합해 실시간 탐지 체계 구성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보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서, 위협 감지 → 자동 조치 → 로그 보존 → 보고서 생성까지 이어지는 보안 점검 플로우를 완성시킨다.

     

     

    보안은 흐름이고, 흐름은 체계로 이어져야 한다

    : 클라우드 보안은 설정보다 ‘지속적 점검 체계’가 중요하다

    Google Workspace 환경은 뛰어난 협업성과 생산성을 제공하지만, 그만큼 정보의 흐름이 빠르고 개방적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보안 점검 체계가 필수다.
    관리자 혼자 모든 것을 기억하고 점검하는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시스템 기반의 보안 흐름, 즉 정책 설정 → 감지 → 자동 조치 → 로그 보존 → 시각화 보고의 흐름이 있어야 한다.
    Google Workspace 보안센터는 이러한 체계를 구축하는 데 매우 적합한 도구다.
    복잡한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지 않아도, 이미 Google에서 제공하는 도구만으로도 기업 수준의 보안 통제 체계를 설계할 수 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다면, Admin Console에 들어가 ‘보안 건강 상태’를 점검해 보자.
    그 한 번의 클릭이 조직 전체의 정보자산을 지키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